반응형
시장흐름
뉴욕증시는 트럼프 무역협상 시사 발언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는 트럼프의 EU, 멕시코 관세 우려 등에 혼조 마감
우리나라는 하락 출발해서 상승했다가 하락 횡보후 장 마감에 상승폭을 확대
상법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원달러 환율 하락 등이 증시 상승 요인으로 작용
최근 JP모건이 국내 주식 투자의견을 Neutral에서 Overweight로 상향 조정하고 향후 2년 이내 코스피 5000P 돌파 가능성 있다고 전망한 점이 투자심리를 개선
장 초반 바이오, 원전 섹터에 돈이 들어가는 흐름 이후 바이오에서는 디앤디파마텍이 큰 상승후 눌림 횡보했으며 원전에서는 두산에너빌리티가 하루종일 강한 수급이 들어오며 상승, 방산주가 부각되며 풍산이 상승했고 오후에는 로봇주에서 로보티즈가 뉴스뜨며 급등했음. 스테이블코인 관련 뉴스가 계속 떴지만 종목들은 반응이 약했다
지수는 상승하지만 변동폭이 크고 분봉흐름이 매매가 쉽지 않은 상황인 것 같다
최근엔 애프터마켓에서 오르다가 하락하는 경우가 많고 종가에 사도 다음날 하락시키는 경우가 많아서 들고가는 것도 힘든 시장인 것 같고 프리장에서 상승시켰다가 본장에서 급락시키는 경우도 많고... 아무튼 급등시켰다가 급락시키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특징테마, 종목
반도체 관련 | 美 정부, 엔비디아 AI 칩 H20 中 수출 승인 소식 등에 상승 |
미국 정부가 자사 인공지능(AI) 칩 H20의 중국 수출을 승인했다고 밝힘 관세청 발표 ‘6월 월간수출입 현황(확정치)’에서 무역수지는 91억 달러 흑자를 기록. 특히, 반도체 수출 실적이 돋보임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후보자는 오는 17일 열릴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사전 제출한 답변서에서 반도체와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 '한국판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불리는 생산세액공제 제도 도입을 우선 추진하겠다는 구상을 밝힘 삼성전자, DB하이텍, 테크윙, 미래반도체, 자람테크놀로지, 에스앤에스텍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
|
전력설비/ 전선 | 메타, AI 데이터센터 구축 계획 발표 및 트럼프, 100조원 규모 AI·에너지 투자 계획 발표 예정 소식 등에 상승 |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데이터센터 구축 경쟁, AI(인공지능) 인프라 수요 확대 등으로 전력 인프라 기업들의 주가가 강세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AI 인재를 대거 영입한데 이어 14일(현지시간) 대규모 데이터 센터 건설 계획을 밝혔음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AI과 에너지 인프라 가속화를 위한 700억달러(약 97조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 할 예정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이 14일부터 3일간 호남에서 강원으로 이어지는 주요 전력설비 건설현장을 방문해 현장 점검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차질 없이 이행하려는 의지가 반영된 것 제일일렉트릭, 일진전기, 지엔씨에너지, HD현대일렉트릭, LS ELECTRIC, 산일전기 등 전력/전선 테마가 상승 |
|
원전 | 원전 사업 수주 본격화 기대감 및 트럼프, 100조원 규모 AI·에너지 투자 계획 수혜 기대감 부각 등에 상승 |
KB증권 보고서, 미국은 원전 산업 재건을 위해 SMR과 대형원전이라는 투 트랙 전략을 동시에 추진중이라고 함 주식시장은 이제 막연한 기대를 넘어 원전 관련 기업들에게 구체적인 성과를 요구하고 있다며, 투자자 입장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미국의 원전 전략 중에서도 단기적으로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들이라고 밝힘. 이는 실제 착공 이 임박한 3.5세대 SMR의 진행 과정과, 수주 일정이 가시화되고 있는 미국의 대형원전 유럽 수출에 우선 주목해야하는 이유라고 설명. 특히, 현대건설은 미국의 단기 원전 정책과 상당히 연관성이 높다며, 6개월에서 1년 내에 SMR과 대형원전 모두에서 성과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고 밝힘. 두산에너빌리티의 경우 웨스팅하우스의 유럽 수주와 SMR개발사인 NuScale의 루마니아 FID 확정이 중요하며, 삼성물산 역시 NuScale 의 루마니아 프로젝트 FEED 2단계를 Fluor 등과 수행 중이므로 NuScale의 루마니아 프로젝트 경과에 따라서 수혜를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밝힘. 트럼프 대통령의 100조원 규모 AI·에너지 투자 계획 발표 예정 소식이 전해진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현대건설, 에너토크, 태웅, 비에이치아이, 두산에너빌리티, 한신기계 등 원전 테마가 상승 |
|
방위산업/ 전쟁 및 테러 |
폴란드 2차 납품 및 추가 수주 파이프라인 기대감 등에 상승 |
유진투자증권은 풍산에 대해 작년 폴란드 1차 물량으로 방산 영업이익은 2,528억원을 달성(OPM 32%)했다며, 올해는 1차 물량이 대부분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탄 수요로 견조한 영업이익이 전망(25년 방산 영업이익 1,819억원/OPM 34%)된다고 밝힘. 나아가 풍산이 100% 지분을 들고 있는 풍산FNS가 제2공장을 7월 착공하면서 지속되는 방산 수요를 입증하고 있다고 설명. 전일 한화투자증권은 현대로템에 대해 폴란드 K2 전차 공급사업 2차 실행계약과 관련한 협상이 드디어 완료됐 다며, 계약금액은 65억 달러(약 9조원)에 달해 방산 단일 수출 역사상 최대 규모라고 밝힘. 아울러 2차 계약에 K2PL 물량이 포함된 것이 주는 의미는 크게 2가지를 둘 수 있다며, 폴란드 현지 생산 거점을 구축했기 때문에 기본계약 1,000대의 나머지 물량(640대)에 대한 후속 실행 계약이 이행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설명. 이어 향후 슬로바키아 등 폴란드 주변국에 K2PL 모델을 세일즈할 수 있게 됐다고 밝힘. 이에 폴란드 후속 실행계약 외에도 전차 수출 지역의 확대 가능성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고 밝힘. 코츠테크놀로지, 풍산, 아이쓰리 시스템, 엠앤씨솔루션, 풍산홀딩스, LIG넥스원 등 방산/전쟁 테마가 상승 |
|
폴더블폰 | 내년 폴더블 아이폰 출시 전망에 따른 국내 소부장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
미국 애플의 '폴더블 아이폰'이 내년 출시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국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상당한 비중의 물량을 공급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음 파인엠텍, KH바텍, 비에이치, 세경하이테크,유티아이, 이녹스첨단소재 등 폴더블폰 테마가 상승 서울 반도체, 캠시스, 제주반도체, 인탑스, 덕산네오룩스 등 부품 테마 상승 |
|
지능형로봇/ 인공 지능(AI) |
로보티즈, 오픈AI에 자체 개발 휴머노이드 로봇 연내 공급 소식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로보티즈가 오픈AI에 자체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AI 워커'를 공급한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와 관련, 김병수 로보티즈 대표는 "오픈AI가 피지컬 AI에 관심을갖고 하드웨어 팀을 꾸린 만큼 협력이 시작됐다"며, "AI 워커 정식 버전이 4분기부터 나올 예정"이라고 밝힘. 로보티즈 급등, 로보스타, 유일로보틱스, 클로봇, 티로보틱스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
|
비만치료제 | 구글 모회사 알파벳, 비만치료제 기업 멧세라 지분 투자 소식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알파벳이 유사한 신약 파이프라인을 개발 중인 멧세라에 대규모 지분 투자를 단행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멧세라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기반의 먹는 비만 치료제와 펩타이드 신약을 개발 중인 기업으로 최근 GLP-1 계열 약물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높아지며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음 멧세라의 파트너사인 디앤디파마텍 급등, 펩트론, 인벤티지랩, 블루엠텍, 일동제약, 큐라티 스 등 비만치료제 테마가 상승 |
|
면역항암제 | 신약 개발 성과 가시화 기대감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한국과 중국에서 많이 발생하는 희소 혈액암을 국내 면역항암 신약이 정복 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유한양행의 자회사인 이뮨온시아도 면역항암 신약인 ‘IMC-001’을 개발 중이며, 최근 공개한 임상 2상 중 간 결과에서 암이 줄어든 환자의 비율인 객관적 반응률(ORR)이 79%로, 중국의 씨젬리(46.2%)보다 우수한 효능을 보이면서 주목을 받은 적 있음 바이젠셀, 에이비엘바이오, 압타바이오, 이뮨온시아, 앱클론 등 면역항암제 테마가 상승 |
시간외, 애프터마켓
반응형
'주식 공부 > 2025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7월 18일(금) (0) | 2025.07.18 |
---|---|
2025년 7월 17일(목) (0) | 2025.07.17 |
2025년 7월 16일(수) (0) | 2025.07.16 |
2025년 7월 14일(월) (0) | 2025.07.14 |
2025년 7월 11일(금) 손절 못해서 손실 (0) | 2025.07.11 |
2025년 7월 10일(목) (0) | 2025.07.10 |
2025년 7월 9일(수) (0) | 2025.07.09 |
2025년 7월 8일(화) (0) | 2025.07.08 |